TDS란?
Toss Desgin System
토스는 글꼴이나 애니메이션 등 디자인 관련한 시스템이 존재해서 일관된 UI를 제공한다.
이로써 다른 제품을 개발할 떄 쉽게 적용가능해서 생산성을 높인다.
( 역시 큰 회사는 이런게 있구나 )
1. 컬러들을 팔레트로 나누어 변수명 ex) blue_700으로 사용
이러한 규칙을 사용해서 앱, 웹에 적용하며 디자이너, 기획자랑도 소통이 좋다
또한 테마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도 있음
2. 상황에 맞는 디자인을 적용
예를 들어 검색창 밑에 스크롤 뷰가 있을 때는 처음엔 위에만 fade를 적용해야 하지만 검색창을 클릭하면 아래에 키보드 등이 올라와 아래로 내려갈 때 fade를 적용해줘야하는데 이러한 점 또한 상속을 통해 쉽게 적용 가능하다
이미 개발이 되어있는 스크롤 뷰를 건드리지 않고 하는 방법도 있는데 안드로이드 코드는 잘 모르곘다 일단은 그런 방법이 있다고만 하고 넘어갔다.
3. 햅틱 (진동같은 기능)
일관성 있게 interaction을 적용할 수 있다.
4. UI component
모든 컴포넌트화 시켜서 개발하기 쉽게 해놨다. ㄷㄷ;
약간 flutter 느낌이 강한 것 같다
ListView.builder 이런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리스트 뷰를 만들고
그 안에 card나 tile등을 넣어서 쉽게 개발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것들 처럼 모든 Layout 등을 컴포넌트화 시켰다.
'기술 블로그 탐방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토스 모닥불 | EP.6]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Next.js, 꼭 써야 할까? (5) | 2024.10.28 |
---|---|
[ 토스 기술 블로그 ] SLASH 21 - Day 3 실무에서 바로 쓰는 Frontend Clean Code (4) | 2024.09.08 |
[ 토스 기술 블로그 ] SLASH 21 - Day 2 Micro-frontend React, 점진적으로 도입하기 (1) | 2024.08.29 |
[ 토스 기술 블로그 ] SLASH 21 - Day 1 결제 시스템의 SDK와 API 디자인 (0) | 2024.08.29 |
[ 토스 기술 블로그 ] SLASH 21 - Day 1 토스의 서버 인프라 모니터링 (0) | 2024.08.29 |